광명시 문화유산과 인물2 소개
안녕하세요.
철산호빠입니다.
광명시 문화유산과 인물2에서는 광명시의 도지정문화재와 인물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광명시 문화유산과 인물2
광명시 도지정문화재
조선중기 명신이자 우리시의 대표적 향토위인인 오리 이원익선생 관련 문화재가 가학동 지석묘를 비롯한
청동기시대 유적과 무형문화재인 광명농악이 지정되어 보존,전승중이다.
지정별 | 종별 | 구분 | ||||||
---|---|---|---|---|---|---|---|---|
지정번호 | 명칭 | 규모 | 소재지 | 소유자 | 관리자 | 지정년월일 | ||
도지정 | 유형문화재 | 80 | 이원익 영정 | 1점 | 소하동1086 | (재)충현 | (재)충현 | 78.10.10. |
유형문화재 | 161 | 오리이원익 영우 | 1동 | 소하동1084 | (재)충현 | (재)충현 | 96.12.24. | |
유형문화재 | 224 | 광명 이원익초상 | 1점 | 소하동1086 | 이승규 | 이승규 | 09.06.24. | |
유형문화재 | 228 | 계해사궤장연첩 | 1책 | 소하동1086 | 이승규 | 이승규 | 09.10.16. | |
유형문화재 | 229 | 이원익 인조묘정 배향교서 | 1권 | 소하동1086 | 이승규 | 이승규 | 09.10.16. | |
유형문화재 | 230 | 이원익 유서 | 1매 | 소하동1086 | 이승규 | 이승규 | 09.10.16. | |
유형문화재 | 231 | 이원익 도망시 | 1건 | 소하동1086 | 이승규 | 이승규 | 09.10.16. | |
유형문화재 | 232 | 이원익 계자손서 | 2장 | 소하동1086 | 이승규 | 이승규 | 09.10.16. | |
유형문화재 | 234 | 번역 징비록 | 2책 | 소하동1086 | 이승규 | 이승규 | 10.03.23. | |
유형문화재 | 235 | 이원익 친필유묵 | 13점 | 소하동1086 | 이승규 | 이승규 | 10.03.23. | |
유형문화재 | 236 | 이존도 유서 | 1건 | 소하동1086 | 이승규 | 이승규 | 10.03.23. | |
기념물 | 85 | 이원익 묘소 및 신도비 | 1기 | 소하동 1059-9호 | (재)충현 | (재)충현 | 85.09.20. | |
문화재자료 | 58 | 가학동 지석묘 | 1기 | 가학동 101-2호 | 국유 | 광명시 | 85.07.29. | |
문화재자료 | 90 | 오리이원익 종택 및 관감당 | 3동 | 소하동1084 | (재)충현 | (재)충현 | 96.12.24. | |
문화재자료 | 153 | 금오계첩 | 5책 | 소하동1085-16 | 이승규 | 이승규 | 10.03.23. | |
문화재자료 | 154 | 이원익 유묵목판인출본 | 8점 | 소하동1085-16 | 이승규 | 이승규 | 10.03.23. | |
문화재자료 | 155 | 오리선생집 ․ 오리선생속집 | 5책 | 소하동1085-16 | 이승규 | 이승규 | 10.03.23. | |
무형문화재 | 20 | 광명농악 | 철산동 222번지 | 광명농악보존회 | 광명농악보존회 | 97.09.11 |
※구분 란에서 명칭을 클릭하시면 해당 내용을 보실 수 있습니다.
오리 이원익 영정

증별/지정번호 | 도유형문화재 제80호 |
---|---|
지정년월일 | 1978년 10월 10일 |
관리자 | 경기 광명시 소하 2동 1084 |
교통편 | 3번, 12번, 17번, 5627번,5633번 (이화주유소 앞에서 하차) |
이원익(1547~1634)선생은 조선 중기의 대표적 문신으로 임진왜란때 활약한 공으로 호성공신에 올랐다.
호조,예조판서와 좌의정 및 영의정을 수차 역임하고 청백리에 녹선되어 궤장을 하사 받았으며 , 성품이 원만하고
서민적인 인품을 지녀 ‘ 오리정승 ‘ 이란 이름으로 많은 일화를 남긴 분이다.
이 초상화는오사모에 아청색 단령을 입고 의자에 앉은 정장 관복본 으로서 당초에는 중국에서 그려온 것이라는 등
이설이 있었으나 최근의 연구 결과 배접된 화기의 내용등으로 미루어 평양 지역에 건립된 이원익의 생사당에 1595년 경에
모셔져 있던 영정이었다는 추정이 설득력을 얻어가고 있다.
형식상으로는 조선시대의 초상화가 거의 좌안에다 공수자세를 취하는데 반하여 이 초상은 우안에다 오른손엔 부채를
왼손은 요대를 잡고 있는 특이한 자세로 그려져 있는 점은 주목할 만 하다.
출처 광명시청
광명시 문화유산과 인물2 소개 끝